A World on the border of reality and imagination.
I draw a landscape in a virtual world mixed with reality and imagination
This has started with curiosity about the after-life after the sudden death of the people around. I thought there is countless spaces between the world divided into heaven and hell, and I began to build a virtual space mixed with reality and imagination based on the shape of the vertical world.
The world has some characteristics and rules similar to games.
1. The world is built by vertical structure and is divided into layers.
2. Each stories, you can see a space of specific concept.
3. To go to another floor, you have to find a hole in the floor.
Holes act as portals connecting one world to another.
The world, built in the form of a frame structure that repeats like a Russian doll or a dream in a dream, is connected with story.
It is similar to looking at the world in a first-person when playing a game. Various things such as space in space, remaining text, and neon balls are arranged everywhere.
Just like Easter Egg, it has hidden things that visitors can find according to their taste.
Observing them, we have to find a hole again and move to another dimension.
The elements placed on each floor are small things that bother me in reality, and most of them are selected as things that stimulate nerves by triggering ambivalent.
They sometimes make a day into heaven or hell.
Catching the objects at the boundary, place them in the work, and record the scenery of the world on canvas. When presenting works in the exhibition hall, the entire space is used to tear down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Based on paintings, the most suitable materials for each floor, such as installation and digital drawing, are used to give feeling of the world to visitors.
The world is like a game of escape.
I use elements that I find in real life to design a virtual world space and realize it in the exhibition to invite people. Share and dilute my boundaries with others through missions given to them. Similar to reality but does not exist after all.
The apple on the paper, the edge of the page apparently turning over in most works, and the grid that are metaphors constantly imply to myself and to the viewer that this world is a virtual space that never exist.
The virtual strange world expressed by solid in a plane is expanding endlessly.
현실과 상상의
경계에 놓인
세계
나는 현실과 상상이 뒤섞인 가상세계 속 풍경을 그린다.
이는 주위 사람들의 갑작스런 죽음 이 후 사후세계에 대한 궁금증으로 시작 되었다.
천국과 지옥 두개로 나누어진 세계 사이에 무수하게 많은 공간이 존재 할 것이라 생각했고, 그 세로 세계의 형태를 기조로 현실과 상상이 섞인 가상의 공간을 짓기 시작했다.
세계는 게임과 유사한 몇 가지 특징과 룰을 가지고 있다.
1.세계는 세로의 형태로 지어졌으며 층이 나뉘어 있다.
2.매 층마다 특정한 컨셉의 공간이 등장한다.
3.다른 층으로 가려면 바닥에 존재하는 구멍을 발견해야 한다.
구멍은 한 세계와 다른 세계를 연결하는 포털같은 역할을 한다.
마치 러시아인형이나 꿈속의 꿈처럼 반복되는 액자 구조의 형태로 지어진 세계는 그림과 그림이 연결되며 이야기가 이어지기도 하는데 이는 게임을 할 때, 세상을 일인칭 시점으로 바라보는 것과 유사하다. 공간 속의 공간, 남아있는 텍스트, 형광색 공 등 다양한 것들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
마치 이스터에그처럼 관람객들이 취향에 따라 발견할 수 있는 것들을 숨겨놓았다.
이들을 관찰하며 우리는 다시 구멍을 찾아 다른 차원으로 이동해야한다.
층마다 배치된 요소들은, 현실에서 사소하게 나를 괴롭히는 것들인데 대부분 양가감정의 경계에 놓여진 것들로 선택된다.
그들은 하루를 천국으로 만들기도 하고 지옥으로 만들기도 한다.
그 경계에 놓인 대상들을 찾아 작품 속에 배치하고 세계의 풍경을 캔버스에 기록한다.
세계는 도피를 위한 게임 같은 존재이다.
나는 현실에서 발견하는 요소들을 사용해 가상세계의 공간을 디자인하고 전시장에 실현시켜 사람들을 초대한다.
그들에게 주어지는 미션을 통해 타인과 함께 나의 경계점들을 공유하고 희석시킨다.
현실과 유사하지만 결국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다수의 작업에 등장하는 종이 위의 사과나 페이지가 넘어가는 듯한 모서리, 그리드 등은 스스로와 관람자에게 이 세계가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공간이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암시하는 메타포이다.
평면 속에 입체로 표현된 가상의 기묘한 세계는 끝없이 층을 확장 해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