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Eingang]


 누구나 한 번쯤 시공간을 초월한 자신만의 세계, 즉 존재하지 않지만 앙망하는 세계, 꿈과 환상으로 가득 찬 듯 하지만 사실은 현실을 참고한 세계를 상상해 본적이 있을 것이다.

김도경 또한 사후 세계에 대한 상상에서 시작된 자신만의 수직 세계를 만들어 가고 있는데 그 세계는 어느새 지하 5층에 다다랐다. 회화라는 매체를 통해, 단순히 환상이라고 하기엔 꽤나 견고하게 구축되어 가고 있는 작가의 수직 세계는 일종의 게임처럼 몇 가지 규칙을 지니고 있다.


  이 세계에서 다른 차원, 즉 다른 층으로 가는 방법은 오로지 포털 같은 구멍을 통해서이며 비선형적인 구조를 가진 포털은 어디로 연결되어 있는지 알 수 없다. 각기 다른 시공간 속에 존재하는 각 층은 또 다른 여러 시공간―캔버스―으로 이루어진 수평의 세계이다.

그리고 각 층마다 서로 다른 시공간―캔버스―을 넘어 그 수평의 세계를 연결해주는 요소들이 존재한다.

  지하 5층의 세계를 연결해주는 것은 문과 열매로 보인다.

작가가 아인강(Eingang),  즉 입구라고 부르는 아치형의 문은 이번 층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그 안과 밖의 풍경을 분리하기도 하고 동시에 연결하기도 하며 이질적인 시공간이 공존하는 작가의 세계를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일상적 요소들의 양면성을 들여다보는 것에 흥미를 느낀다는 김도경은 베를린에 머무르며 그래피티로 뒤덮인 건물들로 둘러싸인 중정(Höfe)에 매료되었다.

아치형의 문을 넘어 복도를 통과해야 나오는 중정은 그래피티가 가득한 건물의 외부와는 분리된 또 다른 차원의 공간처럼 느껴진다는 점에서 작가의 흥미를 끌었을 것이다.

지하 5층 여기저기에 덕지덕지 붙어 흘러내리고 있는 열매 또한 견고한 껍질 안의 알 수 없는 폭발할 수도, 흘러내릴 수도, 혹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세계에 대한 작가의 호기심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터지기 직전, 아슬아슬한 순간의 열매는 그 표면 아래에 무엇이 있는지 관객의 호기심을 자극하기도 한다.


 작가의 회화에는 각 층의 수평 세계를 연결해주는 요소들뿐만 아니라 수직 세계 전체를 관통하여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수수께끼 같은 요소들이 있다. 캔버스 귀퉁이에 표현되는 책 모서리, 층수를 지시하는 번호, 사과 등이 그것이다.

 불가해한 풍경 속에 뜬금없이 등장하는 이 현실의 존재들은 작가가 공들여 구축한 이 세계가 환상이자 초현실임을 드러내는 장치이다.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이 오브제들은 이 상상의 공간이 현실의 가시적인 측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음을 드러내기도 한다.

어쩌면 김도경이 구축하고 있는 지하 세계는 현실을 잊게 만드는 순수한 환상의 세계가 아니라 현실의 문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현실과 연결된 중간세계인지도 모른다.

언젠가 이 수직 세계에서 어떤 ‘출구’ 또한 발견하게 된다면, 그 문은 우리의 현실을 향해 열려있을까?

독립 큐레이터
마예니

[Eingang]

    At one time or another, everyone has envisioned a dreamlike world beyond time and space―a world that doesn't exist but is wished for, a world seemingly filled with dreams and illusions, yet rooted in reality.

Similarly, Doy has envisioned a vertical world that originated from her contemplation of the afterlife.

The world built in her paintings has substantial structure that exceeds the realm of mere fantasy and follows a set of rules akin to a game. 
Firstly, the only way to access other dimensions in this world is through portal-like openings, which are multi  directionally structured. In this exhibition, Doy presents the landscape of the fifth underground level of her perpendicular world.


    Each floor, existing in a different dimension, is a horizontal world composed of multiple other space-time (each canvas). Within each floor, there are connecting elements across the disparate space-time.

The "Eingang", entrance in German, and the fruit are the objects that connect the world on the fifth underground level.

The arched doorway that appears to be the “Eingang” is a recurring feature in the landscape of this level, creating a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between its internal and external space, alluding to the heterogeneity of Doy's vertical world. Interested in exploring the ambivalence of everyday elements, Doy was drawn to courtyards (Höfe) in Berlin, particularly those surrounded by buildings covered in graffiti.

These courtyards, accessible through doorways reminiscent of the entrances in Doy's paintings, piqued the artist's interest as they seem like separate dimensions of space, distinct from the building's exterior, such as the walls with graffiti. 


    Likewise, the scattered fruit on the fifth floor of the basement reflects the artist's curiosity about the unknown world within a peel―it may explode, spill over, or remain static when it cracks.

The fruits, in imminent danger of breaking, spark the audience's curiosity about what lies beneath their surface. 
In Doy's paintings, there are not only elements connecting the horizontal planes of  each floor, but also enigmatic objects that recur throughout the vertical world: book corners, numbers indicating floors, and apples.

The appearance of real-life objects in an impenetrable landscape is a means of exposing the fact that the artist's meticulously constructed world is illusory and unreal. Ironically, the objects also demonstrate that this imaginative space is not entirely divorced from tangible aspects of reality.

Perhaps the subterranean world that Doy has constructed does not serve as a pure fantasy that causes us to overlook reality, but rather as an intermediary realm that is not exempt from real-world concerns. If she ever discovers any "exit" in the vertical realm, would it be open towards our reality?​

Independent Curator

Yeni Ma

© 2020 by do gyeong kim.

bottom of page